맨위로가기

홍콩의 정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의 정치는 홍콩이 영국 식민지배를 받다가 1997년 중국에 반환된 후, '일국양제' 원칙 하에 고도의 자치를 보장받으면서 변화해 왔다. 홍콩은 행정, 입법, 사법의 삼권 분립 원칙에 따라 정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행정장관이 행정부 수반을, 입법회가 입법 기능을 담당한다. 홍콩의 정치 정당은 친중파와 범민주파로 나뉘며, 2024년 현재 친중파가 집권 연합을 이루고 있다. 주요 정치 쟁점으로는 거주권 문제, 기본법 제23조 시행, 보통 선거 실시, 국가보안법 등이 있으며, 2019년 범죄인 인도 법안 반대 시위와 2020년 국가보안법 시행으로 홍콩의 자치와 민주주의가 위협받는 상황이 발생했다. 홍콩 주민은 중국 국적을 가지며, 홍콩 영주권자는 HKSAR 여권을 신청할 수 있다.

2. 역사적 배경

홍콩은 중계 무역 거점으로서 영국에 의해 식민지화되었다. 초기에는 인구가 적었으나, 중국 본토에서 이민자들이 유입되면서 중국계 주민(화인)이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1941년 홍콩 전투에서 영국군은 일본군에게 항복했고, 홍콩은 일본의 점령 하에 놓이기도 했다. 일본의 항복 이후 홍콩은 다시 영국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중국 국민당이 중국 대륙을 통치했고, 홍콩의 경계는 개방되어 사람의 이동이 자유로웠다. 국공 내전으로 인해 많은 피난민이 본토에서 유입되었다. 1949년 중국 공산당이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하자, 더 많은 난민이 홍콩으로 몰려들었고, 홍콩 정청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경계선을 폐쇄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중국계 주민에게 "홍콩인"으로서의 정체성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대량의 난민 유입은 경제 발전의 기초가 되었지만, 열악한 생활 환경으로 인해 홍콩 사회는 불안정해졌다. 1956년 중국 국민당에 가까운 우파 조합에 의한 파괴 활동이 발생했고, 1960년대 문화 대혁명의 영향으로 1967년 홍콩 폭동이 발생했다.

이러한 사태로 인해 홍콩 정청은 사회 및 정치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 맥레호스 총독 주도로 지하철 건설, 교외 개발, 9년간의 의무 교육이 실시되었다. 1973년 경찰 고위 간부의 부정부패 사건으로 "염정공서(ICAC)"를 설치했고,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부분적인 민주화도 시작되었다. 1992년 크리스토퍼 패튼 총독은 1995년 의회의 민선화를 실시했지만, 이는 1989년 천안문 사태로 인한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불신과 영국의 영향력 확보를 위한 의도로, 중화인민공화국의 반감을 샀다.

중영 공동 선언(1984년)에 따라 홍콩은 1997년 홍콩 반환으로 홍콩의 주권이 중국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이전되었고, 이후 50년간 일국양제 하에 고도의 자치권을 보장받게 되었다.[37] 1990년 3월 중국전국인민대표대회홍콩 기본법을 승인했고, 이는 1997년 7월 1일에 발효되었다.

2. 1. 영국 식민지 시대

홍콩은 중계 무역 거점으로서 영국에 의해 식민지화되었다. 초기에는 인구가 적었고, 중국 본토에서 이민자들이 유입되면서 중국계 주민(화인)이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1941년 홍콩 전투에서 영국군은 일본군에게 항복했고, 홍콩은 일본의 점령 하에 놓였다. 일본의 항복 이후 홍콩은 다시 영국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중국 국민당이 중국 대륙을 통치했고, 홍콩의 경계는 개방되어 사람의 이동이 자유로웠다. 국공 내전으로 인해 많은 피난민이 본토에서 유입되었다. 1949년 중국 공산당이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하자, 더 많은 난민이 홍콩으로 몰려들었고, 홍콩 정청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경계선을 폐쇄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중국계 주민에게 "홍콩인"으로서의 정체성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대량의 난민 유입은 경제 발전의 기초가 되었지만, 열악한 생활 환경으로 인해 홍콩 사회는 불안정해졌다. 1956년 중국 국민당에 가까운 우파 조합에 의한 파괴 활동이 발생했고, 1960년대 문화 대혁명의 영향으로 1967년 홍콩 폭동이 발생했다.

이러한 사태로 인해 홍콩 정청은 사회 및 정치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 맥레호스 총독 주도로 지하철 건설, 교외 개발, 9년간의 의무 교육이 실시되었다. 1973년 경찰 고위 간부의 부정부패 사건으로 주민들의 반감을 사, 홍콩 정청은 부패 방지를 위한 "염정공서(ICAC)"를 설치했다.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부분적인 민주화도 시작되었다.

1992년 크리스토퍼 패튼 총독은 1995년 의회의 민선화를 실시했다. 이는 1989년 천안문 사태로 인한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불신과 영국의 영향력 확보를 위한 의도였다. 패튼의 정치 개혁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반감을 샀다.

2. 2. 중국 반환 이후

중영 공동 선언(1984년)에 따라 홍콩은 1997년 홍콩 반환으로 홍콩의 주권이 중국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이전되었고, 이후 50년간 일국양제 하에 고도의 자치권을 보장받게 되었다.[37] 1990년 3월 중국전국인민대표대회는 홍콩의 헌법 문서인 홍콩 기본법을 승인했고, 이는 1997년 7월 1일에 발효되었다.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책임인 외교 및 국방을 제외한 모든 문제에서 고도의 자치권을 가진 중국의 특별행정구(SAR)가 되었다.

1997년 영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반환된 후, 홍콩의 민주 제도는 역행하여 임시 입법회의가 설치되고 지방 의회에서 임명 의원이 부활했다. 홍콩 특별 행정구 기본법은 2007년 이후 행정 장관 선거 및 입법회의 완전한 민선화를 검토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2018년 현재까지도 완전한 민선화는 실현되지 않았다.

직접 선거와 민주화를 호소하는 데모


기본법에 따르면, 행정 장관 및 입법 기관인 입법회의 선출 방법은 최종적으로 직접 선거로 이행하도록 규정되어 있지만, 행정 장관은 1200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선거 위원회에 의해 선출된다.[39] 입법회 선거에서도 직접 선거와 직능 단체를 통한 간접 선거로 선출된 의석이 있다.

2003년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에 대한 미숙한 대응과 기본법 23조에 따른 국가 보안 조례 제정을 강행하려 한 것이 겹쳐, 2003년7월 1일에는 50만 명이 참가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임 요구 시위가 열렸다. 2004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기본법 해석을 통해 2007년2008년의 보통 직접 선거로의 이행을 부정했다.

2014년8월 31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뜻에 반하는 인물의 입후보를 사실상 배제하는 방침을 결정했다. 그 때문에 홍콩의 민주화 단체는 중화인민공화국에 항의하는 시위 활동을 벌였다.

3. 정부 기구

홍콩의 정부는 행정, 입법, 사법의 삼권 분립 원칙에 따라 구성되어 있다.

3. 1. 행정부

행정장관은 홍콩 특별행정구의 수반이자,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내 최고위 공무원이며 행정부의 수장이다. 행정장관은 기능별 선거구 유권자, 종교 단체, 시 및 중앙 정부 기관에서 선출된 1200명의 선거 위원회에서 선출되며,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의 임명을 받는다.[3] 정책 사항에 대한 자문은 행정장관이 임명하는 행정회의에서 담당한다.[3]

쩡인취안 전 행정장관


홍콩 기본법에 따라 설치된 행정 장관은 "'''특'''별 행정구의 '''수'''장"이라는 의미로 "특수"로 약칭된다. 행정 장관의 자문 기관으로 14명의 고위 관리(3사장과 11국장) 및 15명의 정부 외 멤버("비관수 의원")로 구성된 행정 회의가 있다. 현재 행정 장관은 리자차오이다.

행정장관 아래에는 3명의 사장이 배치되어 있다. 행정장관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다음 순위에 따라 3명의 사장 중 한 명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

  • 정무사사장(Chief Secretary for Administration): 정책 전반의 제정 및 시행에 관하여 행정장관을 보좌한다. 행정장관 다음으로 홍콩 정부의 2인자이다.
  • 재정사사장(Financial Secretary): 재정, 금융, 경제, 무역, 취업에 관한 정책의 제정 및 시행에 관하여 행정장관을 보조하며, 재정 예산안을 제정한다.
  • 율정사사장(Secretary for Justice): 검찰 기구인 율정사를 이끌며, 행정장관의 법률 고문을 겸임한다.


현재, 각 분야의 정책을 제정하는 "'''결책국'''"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정책국의 장으로 국장이 배치된다. 2014년 현재 12개의 국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업무를 담당하는 국의 경우에는, 내부 조직으로 '''과'''가 설치되기도 한다. 그 경우, 국장을 보좌하는 상임 비서장이 과의 책임자가 된다. 또한, 과가 설치되지 않은 국에도 복수의 상임 비서장이 있는 경우가 있다.

상임 비서장 수
상무 및 경제 발전국공상 및 관광과, 통신 및 과학 기술과2명
재경 사무 및 창무국재경 사무과, 창무과2명
공무원 사무국
민정 사무국
발전국2명
보안국
정제 및 내지 사무국
교육국
노동 및 복지국
환경국
운수 및 주택국2명
식물 및 위생국2명



2002년 7월부터 "주요 관원 문책제"가 도입되었다. 이는 3명의 사장 및 국장을 공무원으로부터의 승진이 아닌, 행정 장관의 정치 임명으로 개정하여 정치적 책임을 지게 하는 제도이다. 공무원이 국장이나 사장으로 취임하려면 원칙적으로 공무원을 퇴직해야 한다(공무원 사무국장을 제외).

문책제는 사장 및 국장의 "책임을 묻는" 제도이지만, 입법회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고, 임명자인 행정 장관에게만 책임을 지고 있다.

2006년, 홍콩 정부는 정치 임명을 확대하여 부국장 직책을 증설하는 것을 검토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부사장의 설치는 제외한다고 한다.

결책국 아래에는 정책 실행을 담당하는 '부문'('서' 또는 '처'라고 불림)이 설치되어 있다. '부문'의 장은 관할 국장에게 책임을 진다. 단, 염정공서(부패방지 독립 위원회)나 신소전원공서(옴부즈만 사무국) 등 일부 '부문'은 직접 행정 장관에게 책임을 진다.

3. 2. 입법부

홍콩 특별행정구 기본법에 따라 홍콩의 입법 기관은 홍콩 입법회(LegCo)이다.[8] 입법회 의원 선출 방식은 비례대표제에 의한 직접 선거 및 직능 단체 선거(직능 대표제)로 나뉜다. 2021년 선거 제도 변경 이후, 입법회 의석수는 90석이며, 이 중 20석은 시민들의 직접 투표로 선출된다.[8] 나머지 30석은 기능 선거구에서, 40석은 1,500명으로 구성된 선거 위원회에서 선출한다.

각 구에는 구의회가 설치되어 있지만, 법령 제정 권한은 없고 자문 기관으로 기능한다. 1999년 이전에는 시정국과 구역 시정국이 구의회의 상위 기관이자 사실상의 지방 의회 역할을 했으나, 1999년에 폐지되었다.

3. 3. 사법부

사법부는 일련의 법원으로 구성되며, 최종 심판 법원은 홍콩 최종 법원이다.

홍콩은 영미법 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기본법에 대한 최종 해석 권한을 가지며, 그 의견은 소급 적용되는 경우가 많고 영미법 원칙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홍콩 법원에 구속력을 갖는다. 여기서 기본법은 홍콩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 법률이다.

4. 정치 정당 및 단체

홍콩의 정당은 크게 친중파와 범민주파로 나뉜다.[36] 친중파는 중화인민공화국 중앙 정부와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의 정책을 지지하며, 강한 중국 정체성을 갖는 경향이 있다.[36] 2024년 현재, 친중파는 홍콩 정치의 집권 연합이다.[36] 범민주파는 일국양제 원칙하에 홍콩의 민주주의와 보통선거를 지지하며,[36] 강한 홍콩 정체성을 갖는 경향이 있다.[36]

민주건항협진연맹(좌파)과 자유당(친중 우파)은 친중파에 속하며, 민주당, 공민당, 사회민주연선, 인민역량 등은 범민주파에 속한다. 덩젠화 행정부에서는 민주건항협진연맹과 자유당이 사실상 여당이었으나, 쩡인취안 행정부에서는 민주파와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양당과의 관계에 균열이 생겼다.

4. 1. 친중파

민주건항협진연맹(DAB), 홍콩공회연합회(FTU), 홍콩경제민생연맹(BPA), 자유당, 신민당 등이 있다. 이들은 중국 중앙 정부와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의 정책을 지지하며, 강한 중국 정체성을 가진다.[1]

4. 2. 범민주파

범민주파에는 민주당 (로킨헤이 의장), 공민당, 사회민주연선 (찬포잉 의장), 노동당 (곽윙킨 의장), 홍콩 동력 (량카싱 의장) 등이 있다. 이들은 '일국양제' 원칙 하에 홍콩의 민주주의와 보통 선거를 옹호하며, 강한 홍콩 정체성을 가진다.

홍콩에는 정당의 요건을 규정하는 법이 없기 때문에, 많은 정당이 회사법(公司法)에 기초하여 등기하고 있다. 홍콩의 회사법은 조직 구성원에 대해 과거에 거슬러 올라가 공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 중앙 정부와 관계가 좋지 않은 민주파 정당에게는, 그 당원 명부를 공표하면 중화인민공화국 본토에서 불리한 취급을 받을 우려도 있어, 심각한 문제가 될 가능성도 있다. 그 때문에 특히 중화인민공화국 중앙 정부와의 관계가 나쁜 민주당은 당원 명부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또한 정당에는 "사회 단체"로 등록하는 길도 있으며, 과거에는 그러한 정당도 있었다. 하지만, 흑사회(폭력단) 등에 의한 악용을 막기 위해, 사회 단체의 집회에는 경찰이 참가하여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공민당이 홍콩에서의 정당 제도 부비를 지적하고, 정당법의 제정 필요성을 설파하기 시작했다.

4. 3. 기타 정치 단체


  • 중화총상회
  • 홍콩 중화 제조업 협회
  • 홍콩직공회맹
  • 홍콩 공업 연합회
  • 홍콩 학생 연맹 (범민주 진영)
  • 학민사조 (중국 도덕 및 국민 교육 반대) (범민주 진영)
  • 시민 입헌당 (지역 자치 진영)
  • 홍콩 광복회 (지역 자치 진영)
  • 홍콩 시민당 (지역 자치 진영)
  • 프롤레타리아 정치 연구소 (지역 자치 진영)
  • 홍콩 원주민 (지역 자치 진영)
  • 홍콩 민족당 (지역 자치 진영)
  • 홍콩 민족 전선 (지역 자치 진영)
  • 홍콩 지역 자치 역량 (지역 자치 진영)
  • 홍콩 시민 협회
  • 국제 행동
  • 홍콩 공회 연합회
  • 중국 애국 민주 운동 지원 홍콩 연합회
  • 홍콩 및 구룡 노동 조합 협의회
  • 홍콩 총상회
  • 홍콩 교직원 협회

5. 주요 정치 쟁점

홍콩의 정치에는 다양한 주요 쟁점들이 존재해 왔다.

연도사건
2001양광에게 홍콩 자형 67 좌익 폭동 지도자에게 자색 목련장 수여[29]
2003중완 해안 매립 논란, 하버 페스트 논란
2005더 링크 REIT IPO 논란, 중화인민공화국에 의한 언론인 칭청의 간첩 혐의 체포, 마잉주의 홍콩 입국 비자 거부[30]
2006웨스트카오룽 문화 지구 개발권을 단일 개발업자에게 부여하려던 제안 철회, 상품 및 서비스세 도입 제안 철회, 스타 페리 부두 보존을 위한 싸움
2007퀸스 부두 보존을 위한 싸움, 홍콩 교육 대학 학문 자유 논란
2009요하네스 찬의 마카오 입국 금지, 2012년 행정장관 선출 및 입법회 구성 방법 협의 문서 발표
20102010년 홍콩 보궐 선거, 민주 여신 논란[31]
2012도덕 및 국민 교육 논란
2014점령 운동이 홍콩으로 확대
2016홍콩 입법회 선서 논란
20172017년 홍콩 민주화 운동가 수감
20192019-2020년 홍콩 시위
2020베이징이 강제한 국가 보안법 통과; 홍콩 민주화 운동가 지미 라이가 신법에 따라 체포된 후 석방[32]
2021선거 제도 변경 및 후보 자격 심사 위원회 설립; 지미 라이가 다시 체포되어 톈안먼 광장 학살 당시 살해된 활동가들을 기리는 촛불 시위에 참여한 혐의로 5년 징역형 선고.[32]
2024국가 안보 수호 조례가 이례적인 속도로 통과되어, 베이징과 홍콩 정부에 대한 반대 세력 탄압 권한 강화



"칭청" 석방 포스터

1999년 거주권 문제를 시작으로, 홍콩 기본법 제23조와 관련된 2003년 7월 1일 시위, 보통 선거 문제, 둥젠화 행정장관 사임과 기본법 해석 논란, 정치 개혁안 반대 시위, 정치 임명 시스템 논란, 인플레이션 완화 조치 논란, 량전만 임명 논란, 2010년 보궐 선거, 우산 혁명, 범죄인 인도 법안 반대 시위,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선거 제도 변경 등이 주요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5. 1. 거주권 문제 (1999)

1999년 1월 29일, 홍콩의 최고 사법 기관인 최종 법원홍콩 기본법의 여러 조항을 해석했는데, 홍콩 정부는 이 해석에 따라 10년 안에 160만 명의 중국 대륙 이민자가 홍콩에 입국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사회적, 경제적 결과에 대한 대중의 광범위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1]

일부 법조계에서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 기본법 일부를 개정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홍콩 특별 행정구 정부는 관련 기본법 조항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전인대 상무위)의 해석을 구하기로 결정했다. 1999년 6월, 전인대 상무위는 홍콩 정부에 유리한 해석을 발표하여 법원 판결의 일부를 뒤집었다. 전인대 상무위가 기본법을 해석할 수 있는 전권은 기본법 자체에 규정되어 있었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이것이 사법 독립을 훼손한다고 주장했다.[1]

5. 2. 기본법 제23조와 2003년 7월 1일 시위

홍콩 반환 이후 홍콩 특별 행정구 설립일에 시민인권전선이 주도하는 연례 시위인 홍콩 7월 1일 시위는 2003년 제23조 법안에 반대하면서 대중의 큰 관심을 받았다. 이는 보편적 선거권을 요구하고, 언론의 자유와 같은 시민 자유의 준수 및 보존을 촉구하며, 홍콩 정부 또는 행정장관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고, 친중파의 행위에 반대하는 연례적인 장이 되었다.

2003년, 홍콩 특별 행정구 정부는 반역죄, 전복, 분리 독립, 선동 등의 행위에 대한 국가안보 법안을 제정하여 기본법 제23조를 시행하려 했다.[3] 그러나 이 법안이 홍콩 특별 행정구에 중국 본토의 "국가 안보" 개념을 도입하여 인권을 침해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 퉁 치화 행정부 전반에 대한 불만과 함께 약 50만 명이 이 시위에 참여했다. 제23조의 제정은 "일시 중단"되었다.[4]

5. 3. 보통 선거 문제 (2003년 ~ 현재)

기본법 제45조는 궁극적인 목표가 보편적 선거권임을 명시하고 있지만, 그 목표를 언제,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었다. 기본법에 따르면, 선거법은 2007년부터 이를 허용하도록 개정될 수 있었다.[5]

2004년 4월 6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기본법 부록 1과 2에 대한 해석을 통해 기본법에 따른 선거 시스템 개정 제안에 전국인민대표대회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 같은 해 4월 26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2007년 (행정장관)과 2008년 (입법회)에 보편적 선거권 시행 가능성을 부인했다.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해석과 결정은 민주 진영에게 홍콩 민주주의 발전의 장애물로 여겨졌으며, 홍콩 주민들과의 협의 부족을 이유로 비판받았다. 반면, 친정부 진영은 이를 기본법의 입법 의도와 '일국양제' 원칙에 부합하는 것으로 간주하며, 홍콩 정치 구조 발전에 대한 논쟁을 종식시키기를 희망했다.

2007년 12월, 쩡인권 행정장관은 베이징에 행정장관 직접 선거를 허용해 줄 것을 요청하면서, 홍콩 시민의 절반 이상이 2012년까지 직접 선거를 원한다는 설문 조사를 언급했다. 그러나 그는 2017년을 기다리는 것이 입법회에서 3분의 2의 지지를 얻는 최선의 방법일 수 있다고 말했다.[5] 12월 말, 쩡인권은 전국인민대표대회가 2017년 행정장관 선거와 2020년 입법회 선거를 보편적 선거권으로 실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6]

2013년, 행정장관 선거 과정에 베이징이 직위에 적합하다고 간주하는 후보자를 선별하는 과정이 포함될 것이라는 대중의 우려가 제기되었으며, 이는 비공식 모임에서 전국인민대표대회 부대표가 한 발언으로 촉발되었다.[7]

1997년 홍콩이 영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반환될 때, 중화인민공화국 당국은 "홍콩 반환 후 50년간 정치 체제를 변경하지 않는다"는 일국양제 원칙을 확약했다. 이에 따라 특별행정구가 설치되어, 미니 헌법인 홍콩 특별행정구 기본법 아래에서 고도의 자치권을 가졌다. 그러나 최근 중앙 정부의 홍콩 정부 간섭이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높아지고 있어[37], 푸에르토리코그린란드 수준의 "고도의 자치권"이 아닌, "반자치권"을 가질 뿐이라고 보는 언론도 있다.[38]

기본법에 따르면, 행정 장관 및 입법 기관인 입법회 선출 방법은 최종적으로 직접 선거로 이행하도록 규정되어 있지만, 행정 장관은 1200명의 선거 위원회 위원에 의해 선출된다.[39] 입법회 선거에서도 직접 선거와 직능 단체를 통한 간접 선거로 선출된 의석이 있다.

홍콩 기본법 부속 문서에 따르면, 2007년2008년에 행정 장관 및 입법회 선출 방법을 직접 선거로 이행하는 것이 가능했을 것이다. 그러나 둥젠화 행정 장관은 재임 기간 동안 불경기, 1997년 조류 인플루엔자 대응 미숙, 홍콩 대학 여론 조사 프로젝트 개입 등이 드러나 인기가 없었음에도 2002년에 재선되어 홍콩 시민들의 불만이 높아졌다. 2003년 SARS 대응 미숙과 기본법 23조에 따른 국가 보안 조례 제정 강행 시도는 50만 명으로 추정되는 시민들의 사임 요구 시위를 불러일으켰다. (2003년7월 1일) 이에 위기감을 느낀 중화인민공화국 당국은 2004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기본법 해석을 통해 2007년과 2008년의 보통 직접 선거로의 이행을 부정했다.

2017년 홍콩 특별 행정구 행정 장관 선거부터는 1인 1표의 "보통 선거"가 도입될 예정이었지만, 2014년8월 31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뜻에 반하는 인물의 입후보를 사실상 배제하는 방침을 결정했다. 이에 홍콩 민주화 단체들은 중화인민공화국에 항의하는 시위 활동을 벌였다.

5. 4. 둥젠화 행정장관 사임과 기본법 해석 논란 (2005)

2005년 3월 12일, 둥젠화 행정장관이 사임했다. 둥젠화의 사임 직후, 행정장관 임기를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 홍콩 현지 법률 전문가들은 홍콩 기본법에 따라 임기가 5년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에서는 국가 주석, 총리 등의 임기에 관한 조항이 기본법과 실질적으로 달랐다. 중국 본토 법률 전문가들은 전임자가 사임하여 직위가 공석이 된 경우 후임자는 잔여 임기만 수행하는 것이 관례라고 주장했다.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후임자가 잔여 임기만 수행할 것이라고 확인했다. 많은 홍콩 사람들은 중앙인민정부가 기본법을 자국에 유리하게 해석하여 쩡인취안에게 2년의 수습 기간을 부여하고 5년 임기를 보장하지 않은 것은 일국양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5. 5. 정치 개혁안 반대 시위 (2005)

개혁안 반대 시위


2005년 12월 4일, 홍콩 시민들은 12월 21일 투표를 앞두고 쩡인취안 행정장관이 제안한 개혁안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주최측에 따르면[8], 약 25만 명이 거리에 나왔다. 경찰은 63,000명, 침례대학교의 마이클 드 골리에는 70,000명에서 100,000명 사이로 추산했다.[9]

이번 행진은 망설이는 친민주주의 입법자들에게 여론을 따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친정부 진영은 쩡인취안의 개혁안을 지지하는 청원에 70만 명의 서명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숫자는 친민주주의 의원들에게 영향을 미치기에는 너무 적다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개혁안 논쟁은 주요 정치인인 천팡안성 전 정무사의 복귀를 불러왔고, 2007년 행정장관 선거 출마 가능성에 대한 추측을 불러일으켰지만, 그녀는 다음 선거에 출마하는 데 개인적인 관심이 없다고 일축했다.

2005년 12월 19일, 정부는 온건한 친민주주의 입법자들로부터 막판 표를 얻기 위해 행정장관이 임명하는 구의회 의원 수를 점진적으로 줄이는 방안을 제안하여 개혁안을 수정했다. 그 수는 2008년까지 102명에서 68명으로 줄어들 예정이었다. 2011년에는 나머지 의석을 2012년에 폐지할지 또는 2016년에 폐지할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이 수정안은 12월 4일 시위대의 민주적 요구에 대한 쩡인취안의 마지못한 대응으로 여겨졌다. 이 조치는 범민주 진영에서 "너무 적고, 너무 늦었다"라고 평가했다.

2005년 12월 21일, 정치 개혁안은 친민주주의 입법자들에 의해 거부되었다. 허사오청 정무사는 제안된 변화를 막은 친민주주의 인사 마틴 리와 젠 주교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5. 6. 정치 임명 시스템 논란 (2008)

2008년 기준으로, 정치 임명 시스템에 따른 24개의 비공무원 직위는 11명의 부비서와 13명의 정치 보좌관으로 구성되었다.[10]

2008년 5월, 정부는 8명의 새로 임명된 부비서와 9명의 정치 보좌관을 발표했다. 이 직책은 행정 주도 정부에서 행정 장관의 정책 청사진과 의제를 실행하기 위해 국무 비서 및 최고위 공무원과 긴밀히 협력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쩡인권(Donald Tsang)은 이 임명을 홍콩 정치 임명 시스템 발전의 이정표라고 묘사했다.[11]

2008년 6월에는 외국 여권과 급여 공개로 논란이 일어났다.[12] 정부가 개인의 사생활 보호 권리를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 공개 압력이 계속 거세졌는데, 2008년 6월 10일, 이전에 보수를 공개하는 것이 계약상 금지되어 있다고 주장했던 새로 임명된 부비서와 정치 보좌관들이 자신들의 급여를 공개했다. 정부 보도 자료는 임명자들이 "이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대중의 관심 때문에 자발적으로 급여를 공개했다"고 밝혔다.[13]

5. 7. 인플레이션 완화 조치 논란 (2008)

2008년 7월 16일, 쩡잉춘은 가계 재정을 지원하기 위해 총 110억홍콩 달러 규모의 인플레이션 완화 조치를 발표하면서 "비상 시국을 위한 특별 조치"라고 언급했다.[18] 이 조치에는 외국인 가사 도우미 고용에 대한 직원 재훈련 부담금을 일시적으로 면제하는 내용이 포함되었으며, 추정 비용은 20억홍콩 달러였다.[14][18]

이 부담금은 2008년 9월 1일 또는 그 이후에 서명된 모든 도우미 고용 계약에 대해 2년간 면제될 예정이었으나, 진행 중인 계약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입국 관리 부서는 반년 또는 1년 전에 미리 지불된 부담금을 환불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발표는 혼란과 불확실성을 야기하여, 일부 고용주들이 계약을 연기하거나 유효 날짜 확인을 기다리며 도우미를 해고하는 상황이 발생했고, 이는 도우미들을 불안정한 상황에 놓이게 했다.[15]

2008년 7월, 노동 복지 장관 장젠쭝은 면제 시작 날짜를 한 달 앞당기겠다고 발표했다. 입국 관리 부서는 계약이 만료된 도우미에 대한 14일 재고용 요건을 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16] 7월 30일, 행정장관 회의는 이 조치를 승인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광범위한 비판이 제기된 후, 정부는 계약을 미리 갱신한 도우미는 입국 관리 국장의 재량에 따라 홍콩을 떠날 필요가 없으며, 고용주는 2년 이내에 계약을 갱신함으로써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일부 고용주는 최대 4년까지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인정했다.[17] 이 문제에 대한 정부의 미숙한 처리는 심각한 비판을 받았으며, 정치권 전반과 언론,[18] 도우미와 고용주 모두가 정부의 행정적 신뢰성과 역량에 의문을 제기했다.

5. 8. 량전만 임명 논란 (2008)

2008년 8월, 량전만이 신세계 차이나 랜드의 부사장 겸 전무 이사로 임명되면서 큰 논란이 일었다. 신세계 발전(NWD)의 자회사인 신세계 차이나 랜드는 량전만이 과거 신세계 발전에 특혜를 제공한 대가로 이 자리를 제안받았다는 의혹을 받았다. 량전만은 2004년 훙함 반도 주택 소유 계획(HOS) 공공 주택 단지를 신세계 발전에 저가로 판매하는 데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19]

량전만은 은퇴 후 12개월의 '소독 기간'을 거친 뒤, 5월 9일 신세계 차이나 랜드 취업 허가를 받기 위해 정부에 신청했다.[20] 공무원 장관인 여중의는 심사 위원회를 거쳐 량전만의 요청을 승인했다.[21]

이 논란은 량전만 자신의 이해 상충 의혹뿐만 아니라, 공식 은퇴 후 2년도 채 되지 않아 고액 연봉의 새 직책을 맡도록 승인한 위원회의 무신경함 때문에 발생했다.[19] 신세계는 정부 허가를 받은 후 선의로 량전만을 고용했다고 주장했다.

8월 15일, 공무원국은 쩡인권이 요청한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이 보고서에서 훙함 반도 사건에서 량전만의 역할을 고려하지 못했음을 인정했다.[22] 쩡인권은 공무원 장관에게 승인을 재평가하고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요청했다.[23] 신세계 발전은 8월 16일 이른 시간에 량전만이 어떠한 보상도 없이 직책에서 사임했다고 발표했다.[24]

다음 날, 쩡인권은 여중의가 사임할 필요가 없다고 확인했다. 그는 여중의의 사과와 설명에 만족했으며, 여중의에게 위원회를 설치하여 전직 공무원 신청 절차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를 수행하도록 지시했다.[25]

5. 9. 2010년 보궐 선거

2010년 1월, 범민주 진영의 의원 5명이 보통 선거로의 진전 부족에 대한 대응으로 홍콩 입법회에서 사퇴하여 보궐 선거를 촉발했다.[1]

이들은 보궐 선거를 보통 선거와 기능 선거구 폐지를 위한 사실상의 국민 투표로 사용하고자 했다.[1]

5. 10. 우산 혁명 (2014)

우산 혁명은 2014년 9월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NPCSC)의 선거 개혁 제안에 항의하여 자발적으로 발생했다.[26]

긴축 정책으로 학생들의 동원이 촉발되었고, 그 영향은 수십만 명의 홍콩 시민이 참여하는 정치 운동인 우산 운동으로 확대되어 경찰의 강경 진압과 정부의 전술을 불러일으켰다.[27]

5. 11. 범죄인 인도 법안 반대 시위 (2019)

2019년 2월, 홍콩 입법회는 홍콩과 다른 국가 간의 범죄인 인도 권한을 개정하는 법안을 제안했다. 이 법안은 홍콩 시민이 대만에서 휴가 중 임신한 여자친구를 살해한 사건 때문에 제안되었다. 그러나 대만과의 범죄인 인도 협정이 없어, 그는 대만에서 기소될 수 없었다. 이 법안은 대만뿐만 아니라 중화인민공화국과 마카오까지 도주범 이송 메커니즘을 제안했다. 이에 반대하여 2019-2020년 홍콩 시위가 발생하였다. 2019년 6월 9일과 6월 16일에는 각각 약 100만 명과 200만 명이 시위에 참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경찰의 폭력과 정부의 시위대에 대한 추가적인 탄압은 더 많은 시위를 촉발시켰으며, 1997년 홍콩 반환 기념일인 2019년 7월 1일에는 입법회 건물 점거가 발생했고, 이후 여름 내내 여러 지역으로 시위가 확산되었다.

2019년 6월 15일, 캐리 람 행정장관은 시위를 고려하여 법안을 무기한 연기했지만, 법안을 철회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2019년 9월 4일, 람은 정부가 도주범 법안을 "공식적으로 철회"하고 다른 여러 개혁을 시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8]

2019년 11월 24일, 시위 이후 처음으로 치러진 선거이자 정부에 대한 "국민투표"로 여겨졌던 2019년 홍콩 구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294만 표 이상이 투표되었으며, 투표율은 71.2%로, 이전 선거(145만 표, 47%)보다 크게 증가했다. 이는 홍콩 역사상 최고치였다. 선거 결과는 친민주 진영의 압도적인 압승이었다. 의석 점유율은 30%에서 거의 88%로 증가했으며, 득표율은 40%에서 57%로 증가했다. 선거 전 최대 정당이었던 민건련은 3위로 떨어졌으며, 지도자의 득표율은 80%에서 55%로 감소했고, 세 명의 부의장도 패배했다. 입법회 의원이었던 패배한 후보자 대다수는 친중 진영이었다. ''뉴 스테이츠먼''은 선거 결과에 대해 "홍콩의 진정한 '침묵하는 다수'가 발언한 날"이라고 선언했다.

선거 이후, 코로나19 범유행과 정부의 탄압으로 인해 시위는 서서히 잠잠해졌다.

5. 12. 홍콩 국가보안법 (2020)

1997년 영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반환될 때, 중화인민공화국 당국은 홍콩 반환 후 50년간 정치 체제를 변경하지 않겠다는 '''일국양제'''를 확약했다. 그로 인해 특별행정구가 설치되어, 미니 헌법인 홍콩 특별행정구 기본법 아래에서 고도의 자치권을 가졌다.[37] 그러나 최근에는 중앙 정부에 의한 홍콩 정부에 대한 간섭이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높아지고 있다.[38]

기본법에 따르면, 행정 장관 및 입법 기관인 입법회(후술)의 선출 방법은 최종적으로 직접 선거로 이행하도록 규정되어 있지만, 행정 장관은 선거 위원회의 1200명 위원에 의해 선출된다.[39] 입법회 선거에서도 직접 선거와 직능 단체를 통한 간접 선거로 선출된 의석이 있다.

홍콩 기본법 부속 문서에 따르면, 2007년·2008년에 행정 장관·입법회의 선출 방법을 직접 선거로 이행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나 당시 둥젠화 행정 장관은 재임 기간 동안 불경기, 1997년 조류 인플루엔자 대응 미숙, 홍콩 대학 여론 조사 프로젝트 개입 등으로 인기가 없었음에도 2002년에 재선되어 홍콩 시민들의 불만이 높아졌다. 2003년 SARS 대응 미숙과 기본법 23조에 따른 국가 보안 조례 제정 시도는 2003년7월 1일 50만 명 규모의 시위를 촉발했다. 이에 중화인민공화국 당국은 2004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기본법 해석을 통해 2007년2008년의 보통 직접 선거로의 이행을 부정했다.

2017년 홍콩 특별 행정구 행정 장관 선거부터는 1인 1표의 "보통 선거"가 도입될 예정이었지만, 2014년8월 31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반하는 인물의 입후보를 사실상 배제하는 방침을 결정했다. 이에 홍콩 민주화 단체는 시위 활동을 벌였다.

5. 13. 선거 제도 변경 (2021)

2021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는 홍콩의 선거 제도를 변경하여 민주파의 정치 참여를 더욱 제한했다. 입법회 의석수는 90석으로 늘어났지만, 시민들의 직접 투표로 선출되는 의석은 35석에서 20석으로 줄었다. 후보자는 홍콩 국가보안법에 따라 설치된 경찰의 사전 심사를 받아야 하며, 중국에 충성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입후보 자격이 박탈된다.[37]

6. 국적 및 시민권

홍콩 반환 전후, 중화인민공화국은 홍콩의 중국계 주민들을 자국민으로 인정했다. 이들은 홍콩·마카오 왕래 통행증을 발급받아 중국 본토에 입국할 수 있다.[33] 홍콩 영주권자는 홍콩 입경 사무처를 통해 HKSAR 여권을 신청할 수 있다.[33] HKSAR 여권은 중국 여권과 다르며, 홍콩에서 7년 동안 "통상적으로 거주"하고 홍콩을 영구적인 거주지로 삼아야 영주권 자격이 주어진다.

중국 본토에서 홍콩으로 이주한 새로운 이민자는 7년의 거주 기간을 거쳐 영주권을 취득할 때까지 신분 증명서(DI)를 여행 서류로 소지한다. 중화인민공화국 시민이 아닌 홍콩의 중국계 주민은 귀화를 통해 중화인민공화국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지만, 원래 국적을 포기해야 한다. 중국은 복수 국적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비중국계 주민의 귀화는 드물다.

영국 통치 시대에 홍콩에서 태어난 주민은 영국 속령 시민권(British Dependent Territories citizenship)을 취득할 수 있었다. 홍콩에서 태어나지 않은 주민도 귀화를 통해 영국 해외 영토 시민(British Overseas Territories citizen) (BDTC)이 될 수 있었다. 영국은 홍콩 이민자 유입을 막으면서 영국 국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외 영국 시민(British National (Overseas)) 지위를 만들어 신청을 받았다. 해외 영국 시민 여권(British National (Overseas) passport) 소지자는 영국 거주권이 없다.

1989년 천안문 사태 이후, 영국은 영국 국적법(홍콩) 1990에 따라 50,000가구에 영국 시민권을 부여했다.[35] 반환 후, 홍콩 거주권이 있는 모든 중화인민공화국 시민은 홍콩 특별행정구 여권(HKSAR passport)을 신청할 자격이 있다.

참조

[1] 간행물 The Executive Authorities and the Legislature in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Hong Kong SAR https://www.mpu.edu.[...]
[2] 서적 One Country, Two Systems in Crisis: Hong Kong's Transformation Lexington Books 2004
[3] 웹사이트 Executive Council http://www.ceo.gov.h[...] 2009-05-10
[4] 서적 One Country, Two Systems in Crisis: Hong Kong's Transformation Since the Handover Lexington books
[5] 뉴스 Hong Kong Leader Urges Beijing to Allow More Democracy, Suggests Delay in Direct Elections http://www.voanews.c[...] Voice of America News 2007-12-19
[6] 뉴스 HK 'to elect its leader by 2017' http://news.bbc.co.u[...] BBC News Asia-Pacific 2008-08-04
[7] 뉴스 Hong Kong deputy floated idea of screening mechanism for chief executive poll http://www.scmp.com/[...] 2013-06-04
[8] 웹사이트 LegCo Today http://www.legco.gov[...] 2013-09-08
[9] 웹사이트 The Standard - Hong Kong's First FREE English Newspaper https://web.archive.[...] 2009-01-13
[10] 뉴스 No hurry to present new deputy ministers http://www.thestanda[...] 2008-03-04
[11] 뉴스 High hopes for appointees http://www.thestanda[...] 2008-05-21
[12] 뉴스 2008-06-05
[13] 웹사이트 Political appointees disclose salaries http://www.news.gov.[...] Hong Kong Government 2008-06-10
[14] 뉴스 $11b on table to ease inflation pain https://web.archive.[...] 2008-08-01
[15] 뉴스 Waiver leaves maids in limbo https://web.archive.[...] 2008-07-31
[16] 뉴스 New hope for maids https://web.archive.[...] 2008-07-31
[17] 뉴스 Maids can stay put https://web.archive.[...] 2008-07-31
[18] 뉴스 HK needs better leadership, Mr Tsang 2008-08-03
[19] 뉴스 Tsang's civil unrest 2008-08-09
[20] 뉴스 Officials didn't see decision causing a row 2008-08-16
[21] 뉴스 Former housing chief faces legal bid to demolish his job with developer https://web.archive.[...] 2008-08-07
[22] 간행물 SCS submits report to Chief Executive on Leung Chin-man's case https://web.archive.[...] Civil Service Bureau, Hong Kong Government 2008-08-16
[23] 간행물 Statement of the Chief Executive's Office https://web.archive.[...] Chief Executive's Office, Hong Kong Government 2008-08-16
[24] 뉴스 Ex-official quits job with developer 2008-08-16
[25] 뉴스 Tsang orders sweeping review after job storm 2008-08-17
[26] 웹사이트 Full text of NPC decision on universal suffrage for HKSAR chief selection https://web.archive.[...] 2014-08-31
[27] 뉴스 Strangling Free Hong Kong https://www.wsj.com/[...] 2017-03-11
[28] 웹사이트 CE announces withdrawal of Fugitive Offenders Bill among https://web.archive.[...] 2019-09-08
[29] 서적 Crisis and Transformation in China's Hong Kong M.E. Sharpe 2002
[30] 웹사이트 Taipei times Cabinet questions visa refusal for Ma http://www.taipeitim[...] 2009-03-03
[31] 웹사이트 Tranh luận về cải cách chính trị ở Hồng Kông http://www.nguoi-vie[...]
[32] 뉴스 Hong Kong court rebuffs effort to dismiss Jimmy Lai national security trial https://www.theguard[...] 2023-06-01
[33] 웹사이트 GovHK http://www.gov.hk/en[...] 2008-02-21
[34] 뉴스 Deputy Ministers give up passports 2008-06-05
[35] 웹사이트 British Nationality (Hong Kong) Act 199 http://www.legislati[...] 2010-12-31
[36] 서적 The Taiwan Question in Xi Jinping's Era: Beijing's Evolving Taiwan Policy and Taiwan's Internal and External Dynamics Routledge
[37] 뉴스 中国の香港干渉、憂慮すべき水準に=米議会諮問委 https://jp.reuters.c[...] 2018-02-07
[38] 뉴스 香港への懸念表明を 最後の英総督が訪中のメイ首相に要求 https://www.afpbb.co[...] 2018-02-07
[39] 서적 世界年鑑2021 一般社団法人共同通信社 2021-03-16
[40] 웹사이트 "香港激震 踏みにじられた一国二制度」(時論公論) https://www.nhk.or.j[...] NHK 2021-01-20
[41] 웹사이트 香港立法会「監視機能喪失」 民主派排除、各界で加速も―中国決定、市民は冷ややか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20-12-12
[42] 웹사이트 香港の選挙制度変更決定 体制に“忠誠”か 立候補者を事前審査 https://www3.nhk.or.[...] 2021-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